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약용어3

04. 전매와 당해, 분양가상한제 개념 내 집 마련과 청약 당첨이라는 꿈을 가지고, 오늘도 부동산 용어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전매와 당해, 분양가상한제의 개념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는데요.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함께해 보겠습니다. 전매, 당해, 분양가 상한제란? ■ 전매 : 부동산을 구입 후 빠른 시간 안에 다시 파는 행위. 보통은 입주 전에 분양권을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0년 8월부터는 집값 안정화를 위해서 '수도권 전역', '지방 광역시'에서는 아파트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 지역에서는 청약 당첨 후 소유권 이전 등기 후에 매매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전매제한 기간은 지역마다 다릅니다. 분양가 상한제로 인해 주변보다 분양 가격이 현격하게 낮은 경우는 실 거주자가 아닌, 시세차익을 목.. 삶의 다양 한 것들 2022. 3. 25.
02. 새 아파트, 무조건 싸게 사는 방법 : 주택 청약 우리는 아파트를 구입하길 원한다. 내 집을 원하는 것이다. 우리가 보통 아파트를 구입하는 방법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 매매 : 수 억원의 목돈이 한 번에 지출 된다. ■ 경매 : 관련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 ■ 청약 : 자신의 조건을 따져, 쉽게 도전 할 수 있다. 주변 시세보다 15% - 30% 저렴하다. 돈을 나눠서 지출할 수 있다. (계약금 10%만 지불하고, 아파트 준공까지 3년 동안 돈을 마련하면 된다.) 청약 통장은 무엇일까? : 쉽게 이해하자면, 청약 아파트를 사는 시장에 들어가는 ‘입장권’이다. 만들면 바로 사용 가능한가? : 그렇지 않다. 최소 6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 청약 통장 개설 후, 납입해야 하고, 보유해야 한다. 이런 최소한의 장치가.. 삶의 다양 한 것들 2022. 3. 24.
01. 함께하자. 부동산 공부. 한 눈에 보는 ‘청약 순서도’ 함께하자. 부동산 공부. 한 눈에 보는 ‘청약 순서도’ 저는 전세를 살고 있습니다. 이번엔 다행히 전세 연장을 하였지만, 2년 뒤에는 재계약이 어렵는 주인과의 대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으로 주택 청약을 해보려고 했다. 부동산에가 보았죠. 부동산 사장님이 열심히 설명을 해주시는데, 배경지식(용어, 진행 순서)이 없으니 들어도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부동산 관련 공부를 하기위해 블로그 글들을 찾아보고, 네이버 청약 카페에 들어가봤습니다. 여기서 두 번째 좌절이 있었습니다. 안 그래도 부동산 관련 용어가 어려운데, 그분들은 다 줄여서 부르니(특공, 신희타 등등) 정말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제가 공부할 목적으로 오늘부터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주택청약 8 단계 1. 주택청약 종합저축 가입하기(은행.. 삶의 다양 한 것들 2022. 3. 23.
반응형